온도와 습도가 모두 높은 여름철에는 각종 피부질환이 악화되기 쉬운데, 접촉성 피부염도 그 중 하나이다. 접촉성 피부염이란 외부물질과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부염이며 크게 자극 접촉성 피부염과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으로 구분한다.
자극 접촉성 피부염
자극 접촉성 피부염은 일정한 농도 이상의 자극을 주면 거의 모든 사람에게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는 피부염을 말한다. 자극 접촉성
피부염은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보다 발생빈도가 훨씬 높지만 증상이 경미해 치료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아토피 관련 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자극 접촉성 피부염이 잘 발생하며, 피부 각질층의 장벽 기능이 떨어진 경우에도 자극물질이 잘
침투되어 피부염이 잘 발생한다. 온도가 낮은 경우, 건조한 경우, 고온다습한 경우, 자극물질이 밀폐된 상태로 노출된 경우, 피부손상을
받은 후 노출된 경우 등에도 자극 접촉성 피부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의 원인물질은 보통 금속이나 화장품에 포함된 알레르기 항원이다. 이는 정상인에게는 피부병으로 일으키지 않으나,
이 물질에 민감한 사람에게는 피부염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한다.
머리염색약, 옻나무, 은행나무, 곤충 및 동물, 고무(라텍스), 방부제, 금속, 화장품 등 다양한 물질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알레르기 항원의 종류를 알고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촉피부염의 예방과 치료는 어떻게
원인물질을 찾아내어 재차 접촉을 피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 환자가 한번 민감화되면 매우 오래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항원의 반복적인 접촉이 있는 한 재발을 피할 수 없다.
치료는 증상이 심하거나 광범위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의 전신치료를 병용하고,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국소 연고 치료만으로도
가능한 경우가 많다.
<자료 = 대한피부과학회>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